반응형
<span style="font-family: Gulim;"><span style="font-family: Dotum;"><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size: 10pt;">Daum 파워에디터</span></span></span></span>

(09년 4월 22일에 작성한 글임)

CEO가 구성원에게 추천한 서적이다.

CEO가 구성원과의 소통에서 강조한 개념들이 이 책 안에 알차게 들어가 있어 조금 놀랐다.

경영 관련 서적은 즐겨 보는 편이 아닌데, 이 책을 읽는 건 즐거웠다.


기업이란 결국 개개인의 집단인만큼, 기업도 하나의 유기체 또는 사람으로 보였다. 이 책에서 기업에 대해 진단을 내린 걸 사람에게 적용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 회사, 아니 '나'는 좋음에서 위대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아이러니한 건, 좋음에서 위대함으로 가기 위한 '축적과 돌파' 개념은 단순 명료하지만, 실제 그러한 과정을 거친 기업은 그들 스스로 위대함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느끼지는 못 했다. 뒤돌아 보니 그들이 일상적으로 하던 행동 하나하나가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또한 좋은 회사에서 위대한 회사로 도약한 기업군(Abbott, Circuit City, Fannie Mae, Gillette, Kimberly-Clark, Kroger, Nucor, Philip Morris, Pitney Bowes, Walgreens, Wells Fargo)의 선정 기준이 주식의 가치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과연 그 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의 가치를 진실되게 반영할 수 있냐는 질문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허나 자본주의와 free market에서는 그 기준이 최선이었다고 생각한다.

 

규율 있는 사람들(레벨5의 리더십, 사람 먼저... 다음에 할 일), 규율 있는 사고(냉혹한 사실을 직시하라, 고슴도치 컨셉), 규율 있는 행동(규율의 문화, 기술 가속페달). 이 3가지 요소가 '축적과 돌파'를 이룰 수 있는 플라이휠을 구성한다.

원문에 의하면, Good is the enemy of great -> Level 5 leadership -> First who,...then what -> Confront the brutal facts (yet never lose faith) -> The hedgehog concept (simplicity within the Three Circles) -> A culture of Discipline -> Technology accelerators -> The Flywheel & the Doom loop -> From 'Good to great' to 'Build to last'. 

 

내가 좋아하는 Steve Jobs와 같은 스타 CEO는 레벌5가 아니란 점은 매우 아쉽다. 레벨 5의 CEO는 화려하지 않으며 그들의 성과는 후임 CEO 세대에 더 빗난다고 한다. 단계 5의 CEO는 성공은 타인의 몫, 잘못은 자신의 책임이라고 하며, 비교 기업의 CEO는 정반대의 행동을 취한다.

기업의 자산은 사람이라고 하는데 이는 옳지 않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기업의 자산은 그 업무에 '적합한' 사람이다. 적합한 사람들을 선별한 후에 할 일을 주어주면, 굳이 목표에 대해 강압적으로 강요하지 않아도 그들 스스로 자발적으로 목표를 향한다고 한다. 이는 SKMS에서 이야기하는 자발적인 의욕적인 두뇌 활동(Brain Engagement Voluntarily & Willingly)을 떠올리게 했다. '적합한' 사람은 그 사람의 전문 지식이나 배경, 기술보다는 성격상의 특질이나 타고난 소양과 더 관련이 있다고 한다.

Stockdale Paradox는 서로 상반되는 요소인 열정과 냉정을 어떻게 내 몸 안에서 제어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냉정하게 현실의 최악 시나리오를 대비하며, 열정적으로 미래의 최고 시나리오를 꿈꾸는 것이다. 냉정하게 시스템 고장을 대비하지며, 열정적으로 시스템/품질 최적화 또는 운용실 후의 내 업무(R&D개발 또는 글로벌)를 꿈꾼다.

세상에는 다수의 여우와 소수의 고슴도치가 있다. 나는 고슴도치를 지향해왔으며 이는 참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고슴도치는 3 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내가 깊은 열정을 가진 일, 내가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 일, 나의 경제 엔진을 움직이는 것. 고슴도치는 '한 가지 큰 것'만 알고 그것에 집착하는 단순하고 촌스러운 동물이라면, 여우는 많은 것을 알지만 일관성이 결여된 꾀 많고 교활한 동물에 가깝다.

지속적인 성과를 내는 건 3개의 원을 일관되게 견지하며 규율있는 행동을 하는 자율적인 사람들로 가득한 문화를 만드냐에 달려 있다. 규율의 문화를 규율을 강제하는 폭군과 혼동하면 안 된다. 뭔가가 '평생에 단 한 번의 기회'라고 해도, 3 원 안에 들어맞지 않으면 나와는 관계없다. 위대한 회사에는 '평생에 단 한 번의 기회'가 많다. '그만 둘 일' 리스트가 '할 일'리스트보다 더 중요하다.

기술이 가져오는 변화가 빠르고 급진적일 때도 '기다가 걷다가 달리는' 것이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다. 어떤 기술이 3 원에 들어맞는지 파악하고, 기업이 돌파점을 통과한 뒤에 기술 응용의 선구자가 된다. 위대한 기업은 기술에 열광하거나 편승하지 않지만, 엄선된 기술의 응용 면에서는 선구자가 된다.

 

나의 실천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나의 고슴도치 3개의 원을 그린다.    

 

 

반응형
Posted by ThyArt
l